[뉴스특보] 누리호, 오늘 우주로 …발사까지 남은 변수는?<br /><br /><br />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오늘 2차 발사를 다시 시도 합니다.<br /><br />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는 잠시 뒤인 오후 2시 30분에 브리핑을 통해 누리호의 최종 발사시각을 발표하는데요.<br /><br />이번에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하면, 우리나라는 자력으로 실용급 위성 발사할 수 있는 7번째 나라가 됩니다.<br /><br />누리호 2차 발사까지 남은 변수는 없는지, 발사 과정에서 눈 여겨봐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그리고 이창훈 카이스트 항공우주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.<br /><br /> 우여곡절 끝에, 누리호가 오늘 오후 발사 될 예정입니다. 일단 누리호가 어제 아침 8시 44분 경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대에 도착을 했고요. 기립한 걸로 알려지는데, 현재 정확한 누리호의 상태가 궁금하고요, 그럼 지금을 '발사 직전' 상태다, 이렇게 보면 될까요?<br /><br /> 현재까지, 누리호 발사 예정 시각은 오후 4시입니다. 정확한 발사 시각은 잠시 후 2시30분, 발사관리위가 발표할 예정인데요. 문제가 없다면, 4시에 발사하게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 지금 남아있는 마지막 변수는 바로 날씹니다. 지금 고흥 날씨, 구름이 좀 껴있지만 바람은 거의 없다고 하죠. 강풍 때문에 발사가 미뤄지기도 하지 않았습니까? 오늘 날씨, 발사에 큰 영향은 없겠죠?<br /><br /> 누리호 발사 이후 과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 준비된 그래픽 함께 보시면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발사 2분이 지나면 누리호는 50Km 높이까지 올라가고요. 우주에 진입하게 됩니다. 누리호 발사 모든 과정이 단 16분 7초 만에 끝난다고요? 누리호 발사 이후, 어떤 과정을 거쳐 우주로 날아가는 건가요?<br /><br /> 그렇다면, 잠시 후 누리호 발사 이후, 우리는 어떤 부분을 가장 주목해서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'엔진 클러스터링'이게 누리호 발사 성공을 좌우하는 고난도 기술이라고 하던데요. 우주 선진국들이 이 기술을 모두 극비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, '엔진 클러스터링' 기술을 우리가 다 새로 개발했다고요? 어떤 기술인겁니까?<br /><br /> 누리호의 생김새와 무게 등도 좀 짚어보죠. 이게 건물 17층 높이고요. 무게는 무려 200톤이라고요. 이걸 쏘아 올리려면 엄청난 힘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그런데, 지난 1차 발사 당시 3단 엔진이 딱 46초를 남기고 일찍 꺼졌죠. '통한의 46초'라고들 이야기를 하는데, 누리호 1차 발사와 이번 발사, 달라진 점은 어떤 겁니까? 이 부분에 대한 보완이 됐겠죠?<br /><br /> 이 것도 살짝, 짚어보죠. 누리호 이전엔 '나로호'가 있었는데요. 누리호와 나로호는 어떻게 다릅니까?<br /><br /> 대한민국 우주개발, 30여년 만에 순수 국내 기술 발사체를 쏘아 올리게 됐는데요. 두 분은 한국 우주 개발의 현주소, 어디쯤 왔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누리호의 2차 발사가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세계 일곱 번째로 위성을 우주에 쏘아 올리는 나라가 되는데요. 이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누리호 발사 성공 이후, 그 다음 단계도 궁금합니다. 누리호는 어떤 임무를 갖게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